EYE TECH ( Get ready for the Ai )

게임 직업

🎮 게임업계 가고 싶은 20,30대라면? 이건 꼭 알고 가자!

eyetech 2025. 4. 16. 12:08

🎮 게임업계 가고 싶은 20대라면? 이건 꼭 알고 가자!



안녕하세요! 요즘 게임업계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많아서, 오늘은 “게임회사에 가고 싶은 20대를 위한 현실 가이드”를 써보려고 해요.

“게임 좋아하니까 게임회사 들어가고 싶어요!”라는 말, 정말 많이 듣는데요. 좋아요, 아주 좋은 출발이에요. 하지만 “좋아한다”는 감정만으론 부족해요.
게임업계는 생각보다 전문적이고, 준비 없이 들어가기엔 쉽지 않은 곳이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게임회사를 목표로 하고 있는 20대 친구들에게, “어떤 직무가 있는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실제로 어떻게 들어가는지”까지, 순서대로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

1️⃣ 내가 게임회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부터 정하자

게임회사라고 해서 다 같은 일 하는 건 아니에요. 아주 다양한 직무가 있고, 각자 요구하는 능력도 달라요. 예를 들어볼게요.

💡 기획자
게임의 규칙, 콘텐츠,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
문서 작성 능력, 논리력, 게임 분석력이 중요
🧑 💻 프로그래머
게임을 실제로 구현하는 개발자
Unity, Unreal, C++, C# 같은 언어/엔진을 다룸
🎨 아티스트
캐릭터, 배경, UI 등 시각적인 요소를 만드는 사람
2D/3D 실력, 포토샵, 블렌더, 마야 등 툴 사용
🔊 사운드 디자이너
효과음, 배경음악 등 소리로 분위기를 만드는 역할
🧪 QA (테스트) / 운영 / 마케팅 등
버그 잡기, 유저 피드백 반영, 이벤트 운영 등
➡️ 일단 "내가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지"부터 확실히 정해보세요. 그래야 뭘 공부할지, 어떤 포트폴리오가 필요한지 방향이 잡힙니다.
2️⃣ 실무에 가까운 스킬부터 차근차근 익히자

직무가 정해졌다면 이제는 스킬입니다. 각 포지션별로 정리해볼게요.

✍️ 기획자라면?
엑셀은 진짜 필수예요. 수치 밸런스 조정할 때 자주 씁니다.
파워포인트로 아이디어를 정리해보세요.
내가 좋아하는 게임을 분석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돼요.
👨 💻 프로그래머라면?
C#과 Unity 혹은 C++과 Unreal 중 하나는 확실히 다뤄야 해요.
기본적인 자료구조, 알고리즘, 수학도 필요하고요.
작은 미니게임이라도 직접 만들어보는 게 정말 중요해요.
🖌️ 아티스트라면?
툴 다루는 실력은 기본이고, 포트폴리오가 생명입니다.
캐릭터든 배경이든, 자신만의 스타일이 있다면 금상첨화!
3️⃣ 포트폴리오 = 내 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

경력이 없더라도, 포트폴리오로 어필할 수 있어요.
"내가 이런 생각으로 이런 걸 만들었고, 이 부분은 이렇게 해결했어요."
이렇게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실력 + 문제해결능력까지 보여줄 수 있어요.
기획자는 문서 중심
개발자는 작동하는 프로젝트 + 깃허브 코드
아티스트는 이미지/영상 포트폴리오
요즘은 웹사이트 하나 만들어서 정리해두면 훨씬 보기 좋고, 깔끔하게 전달돼요.

4️⃣ 혼자 말고, 같이 해보자 (프로젝트 경험 쌓기)
진짜 게임은 혼자 만들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팀 프로젝트 경험이 중요해요.
학교 수업, 공모전, 게임잼(Game Jam), 인디 개발 등 기회가 꽤 많아요.
팀으로 뭔가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 = 실무에 적응 잘함
기획자/프로그래머/아티스트가 같이 프로젝트하면 딱 좋아요
혼자라도 작은 게임 하나 완성해서 마켓에 출시해보면 정말 큰 경험입니다.

5️⃣ “게임을 잘하는 것”보다 “깊게 보는 능력”이 중요
물론 게임을 좋아하고 많이 하는 건 좋습니다.
근데 단순히 “이 게임 재밌다~” 수준이면 기획자로 가기 어려워요.
왜 이 게임은 중독성 있을까?
어떤 시스템이 유저를 계속 붙잡는 걸까?
이 UI는 왜 이렇게 배치했을까?
이런 질문을 던지고 분석해보세요.
그걸 문서로 정리하는 연습을 하면, 실력이 엄청 늘어요.

6️⃣ 업계 사람들과 소통하고, 정보도 얻자
혼자 준비하면 방향이 틀릴 수도 있어요.
그래서 디스코드 커뮤니티, 유튜브 현직자 채널, 트위터 등을 활용해서
정보도 얻고, 모르는 것도 물어보고, 사람들과 교류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운 좋으면 팀 프로젝트 같이 할 친구도 생기고, 포트폴리오 피드백도 받을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 “실력 + 실행력”이 답이다
게임업계는 열정만으로는 부족하지만,
실력을 쌓고 결과물로 보여줄 수 있다면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곳이에요.
남들보다 뛰어난 배경이 없어도,
내가 진짜 좋아하는 걸 깊이 파고들고,
계속 만들고, 부딪혀본 사람은 분명 기회가 옵니다.
👊 한 가지 조언만 기억하세요: "계속 만드는 사람이 이깁니다."
혹시 더 궁금한 거 있으면 댓글로 물어보셔도 돼요!
직무별 포트폴리오 만드는 법이나, 인디 개발 팁도 다음에 따로 정리해볼게요 :)
화이팅!🔥